출원번호 | 3020210024636 |
출원일자 | 2021년05월25일 |
출원인 | 경남제약 주식회사 |
등록번호(일자) | 3011150570000(2021.06.15) |
디자인의 대상이 되는 물품 | 라벨 |
그림 1 디자인_라벨_경남제약 주식회사_한국 디자인 출원 원본
지난 6월 15일, 라벨 디자인이 한국 특허청(KIPO)에 등록되었다. 이는 21년 5월25일 경남제약 주식회사에서 출원한 디자인이다. 김민지가 창작하였다.
해당 디자인은 라벨의 표면에 표현된 모양 및 색채의 결합을 디자인창작내용의 요점으로 하고 있다.
본원 디자인은 음료를 수용하는 포장용 용기, 병 또는 상자 및 스틱포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라벨이다. 재질은 종일, 비닐, 필름, 합성수지재 중 하나이다.
그림 2 도면
핑크색 배경에 ‘레모나 핑크’라는 제품명과 ‘피부 비타민’이라는 기능을 기울여서 써놓았다. 또한 입체감이 느껴지는 폰트를 사용했으며 피부에 점을 찍어 기능을 강조했다. 그리고 레모나 핑크를 핑크색의 필기체로 겹쳐 적음으로써 미적 감각을 더했다.
그림 3 해당 디자인이 적용된 제품 사진(출처: 레모나 공식홈페이지)
해당 제품은 디자인이 등록되기 전, 6월 7일부터 ‘피부비타민 레모나핑크’라는 명으로 출시되었다.
분말타입으로 간편하게 피부건강을 챙길 수 있는 레모나의 신제품으로 여성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피부비타민 레모나핑크’는 히알루론산과 비타민C가 포함되어 있어, 수분충전과 피부보습 항산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깔끔하고 러블리한 라벨 디자인이 눈길을 끄는데 도움을 주었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출원번호 | 10-2020-0146702 |
출원일자 | 2020년11월05일 |
특허권자 |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
등록번호(일자) | 10-2272907 (2021년06월29일) |
발명의 명칭 |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치매는 다양한 유전적, 환경적 위험요소에 의해서 유발되는 다각적인 병인(multifaceted pathogenesis)를 보이는 후천성 뇌질환으로 다발성 인지장애(multiple cognitive deficits)를 겪는 질환이다. 가장 대표적인 치매 원인 질환인 알츠하이머는 노년층에서 발병하여 전체 치매의 60 내지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치매환자수는 노령화 인구과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이며, 글로벌 치매 치료제 시장규모 빠르게 성장하여 2024년에는 126억 12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그림1).
[그림1] 국내 치매환자 추이 및 글로벌 치매 치료제 시장규모
현재 FDA 승인을 받고 치매 치료제로는 AChEI와 NMDA 수용체 길항제가 있으며, 그 외에 항산화제, 항염증제, 호르몬제 등의 다양한 약제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약물들은 증상완화 및 지연과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을 뿐, 현재 근본적인 치매 치료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아리이오의 본 특허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 5 억제제 및 NMDA 수용체 길항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에 따른 조성물은 신경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억제하고 학습 및 기억을 퇴화시키는 효과를 지닌 독성 단백질 Aβ에 대하여 미로데나필과 메만틴의 병행 사용에 의해 독성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 내 Aβ에 대한 감소를 유도하여 신경세포의 보호와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을 높여 치매치료를 할 수 있는 있다.
본 특허의 실시예에서 미로데나필 및 메만틴을 각 농도별로 병용 처리하고, 미로데나필 또는 메만틴을 단독 처리한 후 세포에서 Amyloid β(Aβ) 형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SH-SY5Y을 All-trans-retinoic acid를 포함하는 분해배지로 neuron-like differentiation 시켰으며, Aβ1-42 oligomer를 형성하기 위해, Aβ1-42를 처리하였다.
미로데나필 0.1 μM과 메만틴 0.5 μM을 병용 처리한 실시예 1의 Aβ감소율 15.97%; 미로데나필0.5 μM과 메만틴 0.1 μM을 병용 처리한 실시예 2의 Aβ감소율 13.15%; 미로데나필 0.5 μM과 메만틴 0.5 μM을 병용 처리한 실시예 3의 Aβ감소율 23.18%는 미로데나필과 메만틴 단독 처리시의 감소율 A, B의 합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상가 이상의 효과가 인정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그림2).
즉, 미로데나필 0.1μM 및 0.5μM를 단독 처리한 비교예 1, 2의 Aβ감소율을 각각 A1, A2라하고, 메만틴 0.1μM 및 0.5μM를 단독 처리한 비교예 3, 4의 Aβ감소율을 각각 B1, B2라 할 때, 실시예 1의 Aβ감소율 15.97%은 'A1+B2 = -0.18%'보다 월등히 높고, 실시예 2의 Aβ감소율 15.97%은 'A2+B1 = -1.63%'보다 월등히 높고, 실시예 3의 Aβ감소율 15.97%은 'A2+B2 = -1.72%'보다 월등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Amyloid β(Aβ) 형성 변화
[그림2] Amyloid β(Aβ) 농도 변화 및 감소율 그래프
표 1 및 그림1의 AR1001은 미로데나필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를 통해, 포스포디에스테라제 5과 NMDA 수용체 길항제 중 하나인 메만틴 (memantine)을 병용하는 것에 의한 아미로이드베타 감소를 통한 치매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여, 높은 치매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물(병용처리제)를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아리바이오는 치매치료제 AR1001에 대한 임상 2상을 완료하였으며, 글로벌 임상3상에 진입 예정이다. 아리바이오에서 개발 중인 치매치료제는 기존 정맥주사형이 아닌 '경구용(알약)'으로 개발돼 고령층이 보다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고, '다중기전 방식'이라는 점에서 단일 기전인 기존 치료제와 비교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법인 ECM
변리사 최자영
jychoi@ecmpatent.com
02-568-2675
참조
美 치매신약 승인에 'K-치료제' 재조명···아리바이오 글로벌 3상 눈앞, 머니투데이, 2021년 6월 12일
Figure 1 목성호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출처:네이버 인물정보)
2021년 7월부터 디자인 물품분류체계가 로카르노 국제분류를 기반으로 한 ‘LUC’로 전면 전환되었다. ‘LUC’란 Locarno-based Unified Classification의 약자로, 로카르노 국제분류 기반 통합형 신한국분류체계를 말한다. 출원단계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국제 분류가 활용되며, 심사단계에 해당 체계가 새롭게 시행될 예정이다.
대한민국은 ‘산업디자인의 국제등록에 관한 헤이그협정’ 가입에 의한 국제 디자인 출원제도를 시행했다. 그러면서 2014년부터 꾸준히 로카르노 국제분류를 공식 분류시스템으로 채택하여 ‘출원단계’에서 적용했었다. 그러나 심사단계 즉, 출원된 디자인의 권리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검색 효율성이 높은 국내분류를 적용해 왔다. 이처럼 출원단계와 심사단계의 분류체계가 이원화되어 물품의 유사성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특허청은 LUC를 개발했다. 이는 class(류)와 sub-class(군)으로 세분화된 국제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국내분류를 통합한 체계이다.
출원 및 심사의 기초가 되는 물품분류는 디자인 출원의 대상이 되는 물품을 용도 및 기능, 형태별로 일정한 체계에 따라 분류해 출원 디자인과 동일·유사한 선행 디자인을 찾기 위한 제도다.
LUC가 새롭게 적용됨으로써, 개인 디자이너나 기업이 디자인 출원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특허청 심사관과 동일한 기준으로 물품의 유사 여부 판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권리확보 예측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LUC는 디자인 출원의 대상이 되는 물품을 용도, 기능, 형태별로 일정한 체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기 때문에,출원 디자인과 동일 및 유사한 선행 디자인을 찾는데 이로움을 줄 제도로 보인다.
또한 국제기준에 부합한 물품분류체계로 운영이 가능해져, 헤이그협정에 가입한 주요국들과 2년 주기로 시행되는 로카르노 물품분류 개정작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목성호(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는 "신한국분류체계의 도입으로 선행 디자인 조사의 효율성이 높아져 심사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디자인 트렌드 변화의 가속화에 대비해 강한 디자인권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소감과 계획을 말했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출원번호 | 10-2020-7002823 |
출원일자 | 2018년06월28일 |
출원인 | 테슬라, 인크. |
공개번호(일자) | 10-2020-0029499 (2020년03월18일) |
발명의 명칭 | 차량 탑승자 분류 시스템들을 위한 센서들 및 방법들 |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 차량의 동작들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조직적인 경고들 및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자동화 시스템을 통합하여 차량들은 꾸준히 더 안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차량 탑승자들의 존재를 신뢰성 있게 검출하고 이들을 어린이, 비교적 작은 성인들, 또는 다른 분류들에 따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에 어려움들이 남아있다. 특히, 에어백과 같은 차량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 조치를 지원하거나 제정하려고 할 때 정확한 분류는 중요할 수 있다.
도 1 대표적인 차량 안전 시스템 - 에어백
테슬라는 본 발명을 통하여 차량 탑승자를 검출 또는 분류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차량 안전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끔 한다. 해당 시스템은 탑승자 중량 센서들, 탑승자 존재 센서들 및 탑승자 중량 센서들 및 탑승자 존재 센서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논리 장치들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컨트롤러(130), 통신 모듈(132), 오리엔테이션 센서(140), 속도 센서(142), 자이로스코프/가속도계(144),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146), 온도 센서(148), 습도 센서(148), 조향 센서/액추에이터( 150), 추진 시스템(160)을 통해 차량(110)의 오리엔테이션, 위치, 가속도, 속도, 온도 또는 다른 환경 조건 및 상태를 측정한다. 측정한 데이터 및 탑승자 분류 시스템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OCS; 200)을 통해 탑승자 구속 시스템(170)에서 효과적인 좌석 벨트 센서 및 잠금 메커니즘, 그리고 에어백 전개 시스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 차량 액세서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S(200)의 도면을 도시한다. OCS(200)는 탑승자 중량 센서(222) 및 승객 좌석(210)의 쿠션(212) 내에 배치된 탑승자 존재 센서(224) 및 승객 좌석(210)의 등받이(216) 내에 배치된 탑승자 존재 센서(226)를 갖는 승객 좌석(210)으로 구성된다. 탑승자 중량 센서(222) 및 탑승자 존재 센서들(224 및 226)은 각각의 센서 리드(223, 225, 및 227)를 통해 OCS 컨트롤러(23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통신(예를 들어, 센서 신호들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통신 링크들(173 및 175)을 통해 에어백 컨트롤러(172) 및 에어백 조립체(174)에 연결되어 에어백의 안전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 OCS(200)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OCS(200)의 다양한 요소들을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를 검출 및 분류하기 위한 프로세스(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602)에서, 논리 장치는 탑승자 중량 센서 신호들 및 탑승자 존재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의 컨트롤러(130) 및 OCS(200)의 OCS 컨트롤러(230)는 탑승자 중량 센서(222)로부터 승객 좌석(210)과 관련된 탑승자 중량 센서 신호들을, 탑승자 존재 센서(224 및 226)로부터 탑승자 존재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다. 블록(604)에서, 논리 장치는 수신된 탑승자 중량 센서 신호들에 기초하여 추정 탑승자 중량을 결정한다. 컨트롤러(130) 및 OCS 컨트롤러(230)는 탑승자 중량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 뒤, 온도 센서(148) 및 습도 센서(149)로부터 얻은 온도, 습도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교정하여 정확한 탑승자 중량을 결정한다. 블록(606)에서, 논리 장치는 수신된 탑승자 존재 센서 신호들에 기초하여 탑승자 존재 응답을 결정한다. 이러한 탑승자 존재 응답은 예를 들어 승객 좌석(210)의 탑승자의 커버리지 영역 및 존재에 대응할 수 있거나 간단히 탑승자의 존재 또는 비-존재를 나타내는 부울 값일 수 있다. 블록(608)에서, 논리 장치는 추정 탑승자 가중치 및 탑승자 존재 응답에 기초하여 탑승자 분류 상태를 결정한다. 대표적으로 탑승자가 존재하며 해당 탑승자의 중량이 작을 경우, 작은 탑승자에, 중량이 크면 큰 탑승자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외의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블록(610)에서, 논리 장치는 탑승자 분류 상태를 에어백 컨트롤러(172) 및/또는 차량(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에 보고한다.
도 4 차량 탑승자를 검출 및/또는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들의 흐름도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을 통한 차량에 탑재된 기반 시스템과 센서 기술들은 점점 발전하고 있다. 관련되어 차량 탑승자를 분류하고 안전 시스템을 확충하는 기술 또한 해당 기술들의 발전에 따라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출원번호 | 10-2020-0012376 |
출원일자 | 2020년02월03일 |
출원인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공개번호(일자) | 10-2021-0098625 (2021년08월11일) |
발명의 명칭 | 양극재에 도핑된 금속 함량의 분석방법 |
종래의 양극활물질(양극재)은 구조적인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금속 이온의 도핑을 적용할 수 있다. 도핑에 사용되는 금속 중의 일부는 양극활물질의 표면과 외부에 금속 산화물의 화합물 형태로 남아 있으며, 잔존하는 금속산화물과, 양극활물질의 내부와 외곽에 도핑된 금속 함량을 구분하여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ICP-OES 분석법으로는 양극재 전체에 존재하는 도핑재의 함량 분석은 가능하나, 그 중 양극재 내부 및 외부에 도핑된 금속의 양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양극재의 내부와 외부에 존재하는 도핑재의 함량을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도핑 효율을 정량화한다면 양극재의 성능에 기여하는 실제 도핑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도핑된 금속의 정량분석을 통하여 양극활물질에 기여하는 금속의 함량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최적의 금속 함량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양극재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LG화학의 본 특허는 실제 양극재의 성능 개선에 기여하는 금속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극재에 도핑된 금속의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특허에 따른 방법은,
1) 시료에 30 내지 50%(v/v) 농도의 염산을 가하여 가열 반응시키는 단계;
2) 5 내지 20%(v/v)염산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3)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4) 스칸듐(Sc)을 첨가하는 단계;
5) 불용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6) 금속의 농도를 ICP-OES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극재는 일반적으로, 1차 입자가 집합하여 2차 입자를 형성하는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양극재는 염산과 반응하여 1차 입자로 분리가 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분리된 1차 입자의 일부는 용해되고 일부는 가라앉는다. 이때, 양극재 내부 층상구조에 도핑된 금속은 양극재가 용해되면서 함께 용해되며, 예를 들면 지르코늄(Zr) 금속을 도핑하는 경우 일부 금속이 양극재 외곽에 Li-Zr-O와 Li2ZrO3으로, 흰색 탁도를 띄는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Li-Zr-O와 Li2ZrO3와 같은 금속 불용분을 양극재 외관에 도핑된 금속 물질로 판단하였다. 그림1은 양극재입자의 용해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그림1] 양극재의 용해 형태
본 특허의 실시예1에서 지르코늄(Zr)이 5000ppm 소성된 양극재(NCM)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를 바이알(vial)에 0.05g으로 무게를 정확히 분취하였다.
상기 바이알에 36%(v/v) 농도의 염산 3ml을 가하고, 핫플레이트(hot plate)로 10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에, 30ml이 되도록 10%(v/v) 염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때 갈색의 입자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산화수소수 50ul을 첨가하여 갈색 입자가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용액이 검정색임을 확인하여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내부표준물질로서 1,000ug/ml의 스칸듐(Sc) 0.2ml을 정확한 양으로 투입하였다. 또한, 3,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불용분을 분리하였다. 상기 원심분리 단계는 0.45um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로 대체하여 진행할 수 있다. 불용분 분리 후, 지르코늄(Zr) 농도를 ICP-OES(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로 측정하였다. 3번의 측정 후 평균값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양극재 내부 및 외곽에 도핑된 지르코늄의 함량을 약 4,760mg/kg으로 확인하였으며 그림2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 1] 불용분 분리 후, 지르코늄 농도 측정
[그림2] 양극재 내부 및 외곽에 도핑된 지르코늄의 함량 그래프
비교예1에서는 시료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양극재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테플론 튜브(teflon tube)에 0.05g으로 무게를 정확히 분취하였다. 36%(v/v) 농도의 염산 2ml, 30%(v/v) 농도의 과산화수소 0.5ml 및 48%(v/v) 농도의 불산 0.3ml을 가한 후, 145℃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시료를 용해하였다. 시료가 분해되면 내부표준물질로서 1000ug/ml의 스칸듐(Sc)을 0.2ml 첨가하고, 초순수로 20ml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ICP-OES로 지르코늄(Zr)을 측정한 결과, 5000mg/kg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1의 결과는 양극재 전체에 포함된 Zr 함량의 값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특허의 방법에 의하면 미반응 금속을 제외하고 양극재에 실제 도핑된 금속 이온의 함량을 분석할 수 있으므로, 금속 이온의 투입량과 도핑에 실제 기여하는 함량을 확인하여 미반응 도펀트(dopant) 제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더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극활 물질의 성능을 극대화하여 이차전지 등의 성능을 개선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법인 ECM
변리사 최자영
jychoi@ecmpatent.com
02-568-2675
출원번호 | 10-2021-7013212 |
출원일자 | 2019년10월07일 |
출원인 | 바스프 에스이 |
공개번호(일자) | 10-2021-0072030 (2021년06월16일) |
발명의 명칭 | 바이오디젤 제조 방법 |
지방산 에스테르는 디젤 연료 ("바이오디젤") 로서의 그의 적합성으로 인해, 환경 보호 및 재생 에너지원에 의한 화석 에너지원 (미네랄 오일) 의 대체의 이유로 최근 특별한 의미를 얻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오일의 촉매적 에스테르 교환을 통해 산업적 규모로 수득되고 있다.
도 1 바이오디젤
바스프는 본 발명을 통하여 기존의 바이오디젤 제조 공정보다 저렴한 촉매 및 간단한 공정을 통한 바이오디젤 제조 방식을 제시하였다. 해당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a) 적어도 하나의 알킬 또는 아릴 술폰산 또는 이의 동종무수물을 포함하는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 동안 18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글리세롤과 오일 공급원을 반응시키는 단계
b) 단계 a) 로부터의 반응 생성물을 알칸올로 에스테르교환하는 단계
c) 단계 b) 의 반응 생성물로부터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를 단리하는 단계.
특히 해당 발명에서는 촉매로 흔히 사용되는 황산을 대체하여 메탄술폰산(MSA)을 이용하여 낮은 부산물 형성 경향 및 촉매량이 비용-효율적인 개선을 얻을 수 있으며 메탄술폰산의 낮은 부식성을 통하여 반응 장비의 유지비용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실시예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188.8 g 올레산 (= 0.67 mol), 47.2 g 평지씨 오일 (정제, 산가 0.19 mg KOH/g) (= 236 g 오일상) 및 59 g 글리세롤 87% 활성 (= 0.56 mol) 을 반응 용기에서 혼합하고, 진공 (10 kPa) 하에 140℃ 까지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1.69 g 메탄술폰산 (MSA) 70% 활성 (= 1.183 g MSA = 12.3 mmol = 오일상에 관해 0.5 중량%)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시간은 140℃ 에서 시작하고 온도 및 진공은 10 kPa 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올레산과 글리세롤의 에스테르화는 샘플을 꺼내어 조절하였다 (약 4 g). 샘플을 약 4 g 글리세롤로 세척하여 혼합물로부터 MSA 를 제거하였다. 글리세롤 및 오일상을 분리하였다.
먼저 생성한 바이오디젤의 산가를 통해 제조 공정에 필요한 반응 시간을 확인한 표 1은 다음과 같다. 생성되는 바이오디젤이 지향되는 산가 2 이하의 범위에 도달하기 위한 반응시간은 4시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 산가의 시간 의존성 (mg KOH/g)
이후 여러 가지 촉매 상에서의 반응시간 4시간을 주고 생성한 바이오디젤의 산가는 표 2와 같다. 바이오디젤이 지향되는 산가 2 이하의 범위에 도달하는 촉매는 오직 MSA 및 p-TSA이며 특히 MSA가 더 낮은 산가의 바이오디젤을 생성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촉매 산에 따른 바이오디젤 산가
+) 파라 TSA = 파라 톨루엔술폰산
*) 일부 침전물이 형성됨
**) 타르형 부산물이 반응 동안 형성됨
다음 표 3은 공급 오일원의 품질을 나타내는 유리 지방산(FFA) 함량의 변화에 따른 생성 바이오디젤 산가를 나타낸다. 하나의 예를 제외하고 모두 양호한 산가의 바이오디젤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다양한 품질의 공급원에도 양호하게 좋은 산가의 바이오디젤을 해당 발명 제조 공정에서 수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 다양한 품질의 오일 공급원에 따른 생성 바이오디젤의 산가 비교
표 4는 공정의 필요 온도 조건을 나타내는 반응 온도에 따른 생성 바이오디젤의 산가를 나타낸다. 140℃에서 180℃까지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양호한 품질의 바이오디젤을 수득할 수 있으며 반응 효율을 위해서 140℃가 선정될 수 있다.
표 4 산가의 온도 의존성
표 5는 생성 바이오디젤의 산가의 촉매량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다. 해당 실시예의 0.5 중량%보다 적은 0.25 중량%에도 낮은 산가의 바이오디젤이 원활하게 수급될 수 있음을 보인다. 즉, MSA를 사용하는 해당 발명 공정은 굉장히 비용 효율적인 촉매량으로 낮은 산가의 바이오디젤을 수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 5 산가의 MSA 의존성
각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감퇴 정책에 따라서 해당 바이오디젤 기술 또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다음달 1일부터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연료의무혼합제 강화에 따라 차량용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3.5% 이상을 혼합하여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바이오디젤 관련 기술은 한국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출원번호 | 10-2021-7012983 |
출원일자 | 2019년10월24일 |
출원인 | 바스프 코포레이션 |
공개번호(일자) | 10-2021-0068517 (2021년06월09일) |
발명의 명칭 | NOx 저감을 위한 구리 포획 구성요소가 첨가된 촉매 조성물 |
질소 산화물, NOx는 내연기관 및 연소설비, 질산생산 공자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산성비를 포함한 여러 대기 오염을 초래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과량의 산소 존재 하에서 암모니아를 이용한 NOx의 촉매 환원을 일으키는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공정을 이용하며 공정에 주로 사용되는 촉매는 금속으로 촉진된 제올라이트가 주로 사용된다.
도 1 배기가스를 방출하는 공장
바스프에서는 본 발명을 통하여 알루미나 등의 구리 포획 요소를 기존 제올라이트 촉매에 추가하여 더 높은 NOx 전환률 및 에이징 저항성을 띄는 촉매 조성물을 제시하였다. 해당 발명에서 촉매 조성물을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제1 워시코트와 구리 포획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제2 워시코트의 형태로 존재한다. 구리 포획 구성요소는 D90 입자 크기가 약 0.5 미크론 내지 5 미크론인 입자로 구성된다.
먼저, 도 2는 복수의 통로(12)를 갖는 전형적인 벽 유동형 필터 기재(1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통로는 필터 기재의 내부 벽(13)으로 형성되어 있고 관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 1은, 주입구 단부(14)와 배출구 단부(16)를 갖는 벽 유동형 필터 기재의 일 구현예의 외부도를 도시한 것이다. 교대로 존재하는 통로는 주입구 단부에서 주입구 플러그(18)(검은색으로 표시됨)로 배출구 단부에서 배출구 플러그 (20)로 플러그되어, 기재의 주입구 단부(14)와 배출구 단부(16)에서 반대되는 체커보드 패턴을 형성한다.
도 2 주입구 단부와 배출구 단부를 갖는 벽 유동형 필터 기재의 일 구현예의 외부도
SCR 공정의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올라이트는 차바자이트(CHA) 구조를 같는 제올라이트에 구리를 치환시킨 Cu-CHA 제올라이트를 이용한다. 촉매의 pH 및 점도를 제어하기 위한 실리카 등의 결합체, 회합성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가 추가로 첨가되어 슬러리를 형성하고 형성된 슬러리는 균일한 혼합을 위해 밀링된다. 이후, 워시코트 기술을 통해 도 2의 유동형 필터 위에 코팅하여 필터상 SCR 촉매 (SCRoF)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평가된 코팅량 및 촉매 조성 방식에 따른 샘플 설계는 표 1과 같다.
샘플 70-1은 Cu-CHA 단일 구성요소 조성물(알루미나 미함유)이며, 참조물질로 사용하였다. 샘플 70-4 및 샘플 70-5는 먼저 알루미나를 코팅하고 두 번째로 Cu-CHA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준비하였다. 샘플 70-6의 경우, Cu-CHA 함유 워시코트는 또한 소량의 알루미나 기반 재료를 포함한다. 샘플 70-7 내지 샘플 70-10은 Cu-CHA와 알루미나의 혼합물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제올라이트 함유 워시코트(표 1의 메인(main) 코트)를 동일한 슬러리를 사용하여 필터 기재 상에 2회 코팅하여(먼저 주입구의 워시코트, 그 다음에 배출구의 워시코트(그 사이에 하소(450℃/1시간)를 포함함)), 목적하는 워시코트 로딩을 수득하였다.
도 3은 SCR 공정의 환원제인 암모니아의 흡착-탈착 실험을 통해 측정한 각 샘플 및 에이징(10% 스팀으로 850℃에서 5시간 동안) 후 샘플의 암모니아 저장 용량 측정 결과이다. NH3 흡착은 GHSV=60,000 h-1에서 500 ppm NO, 500 ppm NH3, 10% O2, 5% CO2, 5% H2O 및 나머지 N2로 이루어진 SCR 공급물을 이용하여 200℃에서 수행하였다. 데이터는, 신선한 샘플(70-1)의 경우, 참조 샘플로부터 NH3 탈착의 총량은 1.18 g/L이고, 모든 다른 샘플은 참조 샘플의 +/- 10% 이내이며, 여기서 샘플 4, 샘플 5 및 샘플 10이 약간 더 높음(1.22 g/L 내지 1.24 g/L)을 나타낸다. 에이징된 샘플의 경우, 탈착된 NH3의 총량은 상응하는 신선한 샘플보다 유의하게 더 낮다. 반면, 샘플 70-5는, 최고 총 NH3 용량(1.0 g/L)을 나타냈으며, 이는 제올라이트만 함유한 참조 물질(0.74 g/L)보다 훨씬 더 높았다.
도 3 실시예의 신선한 SCRoF 샘플과 에이징된 SCRoF 샘플에 대한 NH3 저장 용량 측정치
도 4는 신선한 SCRoF 샘플과 에이징된 SCRoF 샘플에 대한 NOx 전환을 정상 상태 반응 조건 하에서 200℃ 내지 600℃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반응은 GHSV = 60,000 h-1에서 N2 중 500 ppm NH3, 500 ppm NO, 10% O2, 5% H2O, 5% CO2로 이루어진 공급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00℃에서, 모든 신선한 샘플은 유사한 NOx 전환(약 80%)을 나타낸다. 하지만, 모든 에이징된 샘플은 200℃에서 참조물질(샘플 70-1)보다 더 높은 NOx 전환을 나타내며, 그 중에서 샘플 70-5, 샘플 70-4 및 샘플 70-10이 유의하게 더 높다(각각, 20%, 9% 및 8%). 샘플 70-5가 200℃에서 가장 활성인 촉매이다.
600℃에서, 알루미나가 첨가된 모든 샘플에서 신선한 샘플의 NOx 전환은 참조물질보다 더 높으며, 일부는 10% 초과이다. 850℃ 에이징 후, 활성의 차이는 더욱 현저해진다. 알루미나로 필터를 예비 코팅하면 600℃에서 NOx 전환이 유의하지 않지만, 알루미나와 제올라이트를 혼합하면 고온 NOx 전환이 뚜렷하게 증가한다. 알루미나와 제올라이트의 혼합에 의한 NOx 전환 증가는 7% 내지 14% 범위이며, 샘플 70-9에서 최고이다. 샘플 5, 샘플 6 및 샘플 7(모두 γ-Al2O3(A) 첨가제를 함유함)은 코팅 방법론에 따른 상이한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에이징된 샘플의 경우, 알루미나와 제올라이트를 혼합하면 200℃에서 약간 더 높은 NOx 전환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샘플 70-7 내지 샘플 70-10). 예비 코팅 0.15 g/in 3 γ-Al2O3(A)는 NOx 전환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샘플 70-5). 에이징된 샘플의 경우, 알루미나와 제올라이트를 혼합하면 600℃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NOx 전환이 일어났다(샘플 70-6 내지 샘플 70-10).
도 4 실시예의 신선한 SCRoF 샘플과 에이징된 SCRoF 샘플에 대한 200℃, 600℃에서의 NOx 전환율
배기 오염에 있어 NOx 는 인체에 유입될 때 피부조직 및 호흡기를 자극하여 여러 위해를 가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NOx의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다. 특히 대기 중 NOx는 최근 미세먼지의 주 원인으로 보고되면서 NOx의 배출 규제는 점점 더 강화되는 추세이다. 관련하여 NOx 저감기술들의 발전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출원번호 | 10-2020-7009513 |
출원일자(국제) | 2018년12월14일 |
국제출워번호 | PCT/KR2018/015953 |
우선권주장(우선권주장일) | KR 10-2017-0172205 (2017년12월14일) US 62/693,474 (2018년07월03일) US 62/734,388 (2018년09월21일) US 62/734,391 (2018년09월21일) |
출원인 | 에이비엘바이오 주식회사 |
등록번호(일자) | 10-2263812 (2021년06월07일) |
발명의 명칭 | a-syn/IGF1R에 대한 이중 특이 항체 및 그 용도 |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α-syn)은 뉴론의 전 시냅스 말단에서 주로 발현되며, 정상 상태에서는 자연적으로 접히지 않은 상태의 단량체로 존재한다. 그러나, 병적인 상태에서 알파-시누클레인은 액적(droplet), 인지질 이중막 또는 지질막 등과의 결합 및 상호작용을 통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접힌 또는 폴딩된 α-헬리칼 형태의 2차 구조를 형성하여 이량체(dimer), 올리고머(oligomer) 및/또는 섬유상 형태의 분자를 포함하는 응집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는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파킨슨병, 파킨슨질환성 치매, 다계통 위축증, 루이소체 치매, 그 외 다양한 질환의 신경세포 내에서 발견되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체인 루이소체의 주성분이다. 알파-시누클레인에 대한 항체 또는 그러한 항체를 유도하기 위한 알파-시누클레인의 절편은 시누클레인병에 대한 면역 요법의 방법으로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항체의 뇌 침투는 혈액 뇌 장벽 (BBB)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고도-특이성인 BBB 운반체의 결핍은 뇌 종양 및 신경변성 질환을 포함한 뇌에서 기원하는 질환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제 및 진단제의 개발을 지연시키고 있다. BBB의 생리학 및 항상성을 붕괴시키지 않으면서, 뇌에 약학적으로 효능있는 투여량으로 치료제 및 진단제 분자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분명하게 존재한다.
에이비엘바이오의 본 특허는 알파-시누클레인 및 IGF1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 특이 항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키메릭 항체의 알파-시누클레인 특이적 결합 평가하였다. 키메릭 항체 3A9, 9B11, 11F11 3종을 아밀로이드 베타1-42 및 타우 단백질로 만들어진 응집체와 닷블롯으로 반응시켜 해당 항체들의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에 대한 특이적인 결합력을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아밀로이드 베타1-42 및 타우는 응집체를 형성하여 퇴행성 신경질환, 특히 알츠하이머병에 중요한 병인으로 생각되며, 해당 응집체는 알파-시누클레인의 응집체와 유사하게 올리고머, 프로토피브릴, 피브릴 등의 구조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해당 닷블롯은 키메릭 항체 3A9, 9B11, 11F11들이 알파-시누클레인의 특이적인 시퀀스를 인식하고 알파-시누클레인, 아밀로이드 베타, 타우 유래 응집체가 응집체로서 가지는 공통적인 구조를 인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복 특허의 실시예에서 키메릭 항체들인 3A9, 9B11, 11F11이 알파-시누클레인 유래 응집체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아밀로이드 베타1-42 및 타우 유래 응집체에는 결합하지 않음을 보여준 결과이다. 이와 상이하게 아밀로이드 베타1-42 및 타우에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6E10 및 Tau5 항체는 닷블롯 상에서 해당 응집체에 결합함을 보여주었다(그림1).
[그림1] 키메릭 항체의 알파-시누클레인 특이적 결합 평가
상기의 결과에 따라, 해당 키메릭 항체들이 알파-시누클레인의 호몰로그 및 상이한 단백질 유래 응집체에 결합하지 않음은, 해당 항체들이 타겟 단백질에만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호몰로그 및 상이한 단백질 유래 응집체에 결합하는 항체 혹은 약물 대비 그 효능이 뛰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특허의 실험예에서 항-IGF1R 항체의 in vivo BBB 통과능을 normal rat에서 확인하려 하였다. SD rat에 10 mg/kg 혹은 30mg/kg 의 파킨슨 병 치료 단독항체 (11F11) 혹은 항-IGF1R 항체(1564 클론)이 bivalent 형태로 결합된 이중특이항체 (11F11-1564)를 미정맥에 단회 투여 후 24시간 째에 그 CSF 및 brain에서의 항체량을 질량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1564 클론이 결합된 이중특이항체는 항IGF1R 항체가 결합하지 않은 치료 항체 대비 높은 CSF, brain 통과능을 보였으며 해당 효능을 10, 30 mg/kg dose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이중특이항체는 30 mg/kg dose에서 단독항체 대비 최대 약 4.5배 이상의 brain으로의 통과능을 보였다.
1564 클론을 bivalent 및 monovalent 형태로 제작한 뒤 30 mg/kg 혹은 60 mg/kg으로 투여 후 24시간 째에 CSF와 brain에서의 항체량을 분석하였다. 1564 클론이 결합된 두 가지 형태의 이중특이항체는 단독항체 대비 높은 CSF, brain 통과능을 보였다. 특히 bivalent 형태는 monovalent 형태 대비 높은 BBB 통과능을 보였으며, 이는 최대 약 5배의 brain 통과능 증대였다(그림2).
그림2는 1564 클론이 다양한 형태로 치료 항체에 결합되었을 때에도 해당 치료 항체의 체내 BBB 통과능을 향상시킴을 나타낸다.
[그림2] 체내 BBB 통과능 비교
상기 이중 특이 항체를 이용하여 알파-시누클레인 또는 이의 응집체와 관련된 질병인 시누클레인병의 예방, 치료 및/또는 진단 용도로 사용하고, a-syn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단편을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게 하여 뇌에서 그 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반감기를 연장하여 약효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단일클론항체는 리간드인 IGF-1, IGF-2 및 그 homolog인 insulin이 IGF1R에 결합하는 것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IGF1R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을 억제하지 않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혈관뇌장벽 통과와 관련하여 유용성을 지닌다. IGF1R에 brain endothelial의 transcytosis에 최적화된 결합력으로 IGF1R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낮은 혈관뇌장벽 통과능으로 치료 효능이 제한적이었던 퇴행성 뇌질환 및 뇌암 치료항체의 전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에이비엘바비오의 본 특허 기술 및 기타 CNS(Central Nervous System, 중추신경계) 타깃 조합을 통해 기타 뇌질환(치매, 알츠하이머, 파킨슨 등) 치료제로 개발 가능한 추가적인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법인 ECM
변리사 최자영
jychoi@ecmpatent.com
02-568-2675
참조
에이비엘바이오, 치매 등에 사용되는 이중 특이 항체 관련 특허 취득핀, 포인트뉴스, 2021년 6월 7일
출원번호 | 10-2020-0102496 |
출원일자 | 2020년08월14일 |
출원인 | 구글 엘엘씨 |
공개번호(일자) | 10-2021-0022498 (2021년03월03일) |
발명의 명칭 | 반복 신경망들을 통한 포즈 예측 |
가상 현실(VR) 시스템, 증강 현실(AR) 시스템, 및 혼합 현실(MR)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경험과 같은 몰입형 경험에서, 컨텐츠의 매끄러운 진행 방식이 몰입도를 높이는데 중요하다. 특히, VR/AR 콘텐츠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기지국에서와 같이 원격으로 추적 및 렌더링되는 경우, 디바이스에서 렌더링 서버로 그리고 다시 디바이스로 돌아오는 왕복 과정에 의해 대기시간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몰입을 해칠 수 있다.
도 1 가상 현실(VR) 시스템을 통한 컨텐츠 재생
구글에서는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의 포즈를 추적하고, 이의 미래 움직임을 예측하여 미리 예측된 관점에서의 컨텐츠 영상을 저장해 매끄럽고 몰입도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해당 방식은 증강 현실 경험을 위한 머리 포즈 예측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경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시자를 식별하는 단계,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시자를 제공하여 예측된 위치 지시자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2는 예시적인 머리 포즈 예측 시스템(200)의 블록도이다. 시스템(200)은 VR 디바이스(202)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 방향을 포함한 포즈를 예측할 수 있다. 해당 디바이스는 네트워크(205)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204)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208) 및 입력 디바이스(210)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206)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한다. 광 센서들,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각속도, 선형 가속도 검출 유닛) 센서들(214), 오디오 센서들(216), 이미지 센서들(218), 머리 포즈 검출기들(220), 노멀라이저들(221), 카메라들(222)로 구성된 추적 시스템(212)는 인코더/디코더 모델 (230), 상태 전파 모델(232), LSTM(장단기 기억) 아키텍처(234) 또는 GRU 아키텍처(236)의 다양한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한 사용자의 머리 포즈 예측 시스템(224)에 활용된다.
도 2 AR/VR/MR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머리 포즈 예측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머리 포즈 예측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인코더/디코더 모델 아키텍처(230)이다. 인코더 디코더 모델은 시간에 따른 포즈 데이터를 압축시키는 인코더 부분(402)과 압축되어 핵심만 남은 데이터로 미래의 포즈를 예측하여 원래의 데이터 형태로 되돌리는 디코더 부분(404)으로 구성된다. 인코더 부분(402)은 RNN의 일종인 LSTM 층(406) 및 완전 연결 층(408)으로 구성되며, LSTM 층(406)은 완전 연결 층(408)에 연결된다. 시간에 따른 머리 포즈는 3차원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벡터와 3차원상 머리 방향을 나타내는 쿼터니언 벡터를 합한 7차원의 벡터로 연속되거나 랜덤한 시간에서 H개 만큼 추출되어 인코더에 입력된다(X1(412)~XH(416)). 입력된 포즈 데이터는 LSTM 셀 및 완전 연결 층(408)에서 압축되고 예측되어 제1 예측 샘플(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을 만들며 디코더 부분(404)로 전달되어 예측된 포즈(430)로 출력된다.
도 3 머리 포즈 예측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모델 아키텍처
도 4는 여기에 서술된 구현들에 따른 예측된 머리 포즈들에 기초하여 AR 또는 VR 또는 MR 경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1000)의 구현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블록 1002에서, 프로세스(1000)는 증강 또는 가상 현실 경험에 대한 머리 포즈 예측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이후 블록 1004에서, 프로세스(1000)는 AR/VR 경험과 연관된 3차원 위치 벡터로 표현된 위치 지시자 및 쿼터니언 벡터로 표현된 회전 지시자를 식별하고, 예측을 위해 RNN에 제공한다(1006). 제공된 입력은 RNN에서 출력되어 예측된 포즈를 생성하며(1008), 프로세스(1000)는 요청에 응답하여 예측에 기초하여 증강 또는 가상 현실 경험에서 증강 또는 가상 현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촉발한다(1010).
도 4 예측된 머리 포즈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흐름도
본 발명과 같은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한 예측 및 활용은 아직 데이터 수집에 있어 개인정보 보호에 문제가 있어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 사회적 합의가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더 질 높은 VR 사용자 경험을 위한 기술과 그에 따른 변화는 소비자들의 수요를 점차 높여갈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출원번호 | 10-2020-7035379 |
출원일자 | 2019년04월12일 |
출원인 |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공개번호(일자) | 10-2021-0016543 (2021년02월16일) |
발명의 명칭 |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의 제작 |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및/또는 혼합 현실(MR) 시스템들에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들은 종종 사용자들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스피커들 또는 개인용 오디오 디바이스들과 같은 기능들을 포함한다. 스피커들은 기본적으로 귀를 덮거나 귀 속에 놓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여 몰입을 방해하거나 주변의 큰일이 생기더라도 반응이 어려워 안전함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개인마다 고유한 귀의 모양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자인이 특정 사용자에게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도 1 귀를 막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디바이스
따라서 페이스북에서는 본 발명을 통하여 귀를 열어두면서 소리를 전달하는 사용자 맞춤형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디바이스의 각 변환기는 사용자의 귓등을 진동시켜 소리를 생성하고, 이는 사용자 귀의 연골을 진동시켜 수신된 오디오 콘텐츠에 대응하는 음파들을 생성한다.
도 2는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 제작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며 도3은 예시적인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200)이다. 먼저 제작과정은 사용자의 귀에 부합하는 가볍고 인체 공학적인 오디오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의 귀모양을 기술하는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한다(110). 오디오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본체 (205), 하나 이상의 변환기(들)(210), 및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향 센서(215)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귓볼(255)을 포함하는 귀(250) 둘레를 감싼다. 각각의 변환기(210)는 연골 진동을 통해 압력파를 생성하며, 이는 소리를 귀(250)의 외이도(260)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음질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또한 사용자의 귀 및 외이도(360)에 대한 각각의 변환기(210)로 부터의 힘의 위치, 포지션 및/또는 방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외이도(260)로의 소리 전달을 최적화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작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이도(260)의 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접하게 음향 센서(215)를 위치시킨다(120). 이후, 음향 센서(215)로부터의 피드백을 사용하여, 시스템은 귀(250)의 외부 뒤쪽 부분을 따르는 하나 이상의 변환기들(210)에 대한 위치들을 선정한다(130). 각 위치 선정 과정에 있어서는 피드백에서 추출되는 성능 메트릭이 임계값을 만족시키도록 조정된다. 그리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변환기들(210) 각각에 대해 식별된 위치들과 함께 사용자의 귀(250)의 모양을 사용하여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200)에 대한 디바이스 본체(205)를 생성하고(140), 시스템은 각각의 변환기(210)를 디바이스 본체(205)에 삽입함으로써 변환기(210)를 디바이스 본체(205) 내의 대응하는 위치들에 제공한다(150).
도 2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 제작 프로세스
도 3 연골 전도 디바이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 디바이스(500)에 통합된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예이다. 실시예에서, 아이웨어 디바이스(500)는 헤드-마운 트 디스플레이(HMD)로, 프레임(505), 렌즈(510), 변환기(410), 음향 센서(420), 및 제어기(430)로 구성된다. 아이웨어 디바이스(500)는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 또는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505)은 렌즈(510)를 고정하는 전방부 및 사용자에게 부착되는 엔드 피스로 구성된다. 렌즈(510)는 아이웨어 디바이스(5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빛을 제공하거나 전달한다. 센서 디바이스(515)는 위치 센서 및 관성 측정 유닛을 포함하여 아이웨어 디바이스(500)의 초기 위치에 대한 아이웨어 디바이스(500)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다. 오디오 디바이스는 도 3과 같이 변환기(410), 음향 센서(420), 및 제어기(430)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귀 연골을 진동시켜 소리를 귀를 막지 않고 전달한다.
도 4 아이웨어 디바이스(500)에 통합된 연골 전도 오디오 디바이스
이러한 VR 기기의 몰입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개발은 VR 컨텐츠의 수요와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페이스북은 이러한 컨텐츠의 일환으로 다양한 자전거, 홈트레이닝 등의 운동 강의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펠로톤에 주목하여 해당 구독 서비스에 VR 도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즉 게임을 넘어서는 다양한 매체들에 대한 수요는 VR 개발을 더 앞당길 것이라 해석된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Copyright © 2019 by ECM IP&LAW FIRM .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9 by ECM IP&LAW FIRM . All Rights Reserved.